1. 현금 및 현금성자산의 개념
현금 및 현금성자산(Cash and Cash Equivalents)은 기업이 즉시 사용할 수 있거나 단기간 내에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을 의미합니다.
현금(Cash): 기업이 보유한 화폐(지폐, 동전) 및 예금
현금성자산(Cash Equivalents): 3개월 이내에 현금으로 전환 가능한 금융상품
기업이 현금 및 현금성자산을 보유하는 이유
- 운영 자금 확보: 급여 지급, 원재료 구입 등 일상적인 지출
- 비상자금 준비: 갑작스러운 비용 발생 시 대응
- 투자 기회 활용: 적절한 투자 기회가 나타날 경우 신속한 투자 가능
- 채무 상환: 단기 부채나 금융 비용을 지불하기 위해
2. 현금 및 현금성자산의 범위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① 현금 (Cash)
기업이 즉시 사용할 수 있는 화폐 및 예금
지폐 및 동전 | 기업이 직접 보유한 현금 |
보통예금 | 자유롭게 입출금이 가능한 예금 |
당좌예금 | 당좌수표 발행이 가능한 예금 |
수표 | 고객으로부터 받은 수표 |
주의: 정기예금은 일반적으로 "현금성자산"에 포함되지만, 만기가 3개월을 초과하면 유동자산(단기금융상품)으로 분류
② 현금성자산 (Cash Equivalents)
3개월 이내에 현금으로 전환 가능한 금융상품
만기 3개월 이내 정기예금 | 단기간 내 현금화 가능한 예금 |
양도성예금증서(CD) | 3개월 이내 만기 시 현금과 유사 |
기업어음(CP) | 3개월 이내 만기되는 기업이 발행한 단기 채권 |
환매조건부채권(RP) | 금융기관이 일정 기간 후 다시 사들이기로 한 채권 |
현금성자산의 핵심 요건
- 현금과 유사해야 함 → 즉시 사용 가능
- 3개월 이내 만기 → 장기 금융상품은 포함되지 않음
- 가치 변동이 거의 없어야 함 → 주식, 장기 채권은 제외
3. 현금 및 현금성자산의 회계처리 방법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자산 계정에 속하며, 다음과 같이 회계처리합니다.
① 현금 입금 및 출금 회계처리
(1) 현금이 들어올 때 (입금)
예제 : 고객이 상품을 현금 500,000원에 구입하여 결제
차변: 현금 500,000원
대변: 매출 500,000원
현금 증가 → 자산(차변) 기록
(2) 현금이 나갈 때 (출금)
예제 : 사무용품을 100,000원 현금으로 구매
차변: 소모품비 100,000원
대변: 현금 100,000원
현금 감소 → 자산(대변) 기록
② 당좌예금 회계처리
(1) 은행에 돈을 입금할 때
예제 : 기업이 현금 1,000,000원을 당좌예금으로 입금
차변: 당좌예금 1,000,000원
대변: 현금 1,000,000원
당좌예금 증가
(2) 당좌수표를 발행하여 대금을 지급할 때
예제 : 거래처에 당좌수표 300,000원을 발행하여 지급
차변: 외상매입금 300,000원
대변: 당좌예금 300,000원
당좌예금 감소
③ 현금성자산 회계처리
(1) 기업이 3개월 만기 정기예금(현금성자산)을 예치할 때
차변: 현금성자산 5,000,000원
대변: 현금 5,000,000원
현금 감소 → 현금성자산 증가
(2) 3개월 만기 후, 정기예금을 해지하고 현금으로 인출할 때
차변: 현금 5,000,000원
대변: 현금성자산 5,000,000원
현금 증가 → 현금성자산 감소
④ 미처리된 수표(보통예금 미인출) 회계처리
기업이 고객으로부터 받은 수표를 아직 은행에 입금하지 않았다면 "현금" 으로 처리합니다.
예제 : 고객이 발행한 200,000원짜리 수표를 받았지만, 아직 은행에 입금하지 않음
차변: 현금 200,000원
대변: 매출 200,000원
수표는 현금과 동일하게 취급
4. 현금 및 현금성자산의 공시 (재무제표에서의 표시)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에서 자산 항목의 첫 번째 계정으로 표시됩니다.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에서의 현금 및 현금성자산 예시
[자산]
- 유동자산
- 현금 및 현금성자산 12,000,000원
- 매출채권 20,000,000원
- 재고자산 15,000,000원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가장 유동성이 높기 때문에 유동자산의 첫 번째 항목으로 기재
5. 결론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기업이 즉시 사용 가능하거나 3개월 이내에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
현금: 현금, 보통예금, 당좌예금, 수표
현금성자산: 3개월 이내 만기 정기예금, 기업어음(CP), 양도성예금증서(CD)
회계처리는 현금이 증가할 때 차변, 감소할 때 대변으로 기록
재무제표에서는 "현금 및 현금성자산" 항목으로 유동자산의 첫 번째 계정에 기재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기업의 유동성 및 재무 건전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항목이므로, 철저한 관리와 기록이 필요합니다!
'재무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가증권의 개념, 범위 및 결산 시 유의사항 (1) | 2025.03.09 |
---|---|
단기금융상품의 개념, 범위 및 회계처리 방법 (0) | 2025.03.08 |
당좌좌산의 의의와 종류 (0) | 2025.03.06 |
자본변동표(Statement of Changes in Equity)의 기본 요소 (0) | 2025.03.04 |
현금흐름표의 기본요소 (1) | 2025.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