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가증권의 개념
유가증권(Marketable Securities) 은 재산적 가치가 있는 권리를 나타내며, 시장에서 매매가 가능한 증서를 의미합니다.
기업이 투자 목적으로 보유하거나 단기적으로 자금 운용을 위해 매입하는 금융자산
현금화가 가능하며, 투자목적에 따라 회계처리가 달라짐
주식, 채권, 펀드, 파생상품 등이 포함됨
즉, 유가증권은 기업이 투자하거나 거래 가능한 금융상품으로, 재무제표에서 금융자산으로 분류됩니다.
2. 유가증권의 범위 (종류 및 분류)
유가증권은 보유 목적과 투자 기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단기매매증권 | 단기 시세차익을 목적으로 보유하는 증권 | 상장주식, 단기채권 | 유동자산 (단기투자자산) |
매도가능증권 | 특정한 목적 없이 보유하는 증권 | 일반 주식, 국채, 회사채 | 유동자산 or 비유동자산 |
만기보유증권 | 만기까지 보유할 계획이 있는 채권 | 국채, 회사채 | 비유동자산 (장기투자자산) |
지분법 적용 투자주식 | 관계기업에 대한 투자 | 관계기업 주식 | 비유동자산 (관계기업 투자주식) |
투자 목적과 기간에 따라 유가증권의 회계처리가 달라짐!
- 단기매매증권 → 유동자산(단기매매금융자산)으로 분류
- 만기보유증권 → 비유동자산(장기투자자산)으로 분류
- 매도가능증권 → 유동자산 or 비유동자산 (보유 기간에 따라 결정)
- 지분법 적용 투자주식 → 관계기업 투자로 별도 회계 처리
3. 유가증권의 회계처리 방법
유가증권의 회계처리는 보유 목적과 유형에 따라 달라집니다.
① 단기매매증권의 회계처리 (단기 시세차익 목적)
단기 시세차익을 노리고 매입한 주식이나 채권은 취득 시 "단기매매증권" 계정으로 회계처리합니다.
예제 1 : 기업이 10,000,000원으로 상장주식을 매입한 경우
차변: 단기매매증권 10,000,000원
대변: 현금 10,000,000원
단기매매증권 증가, 현금 감소
예제 2 : 주식 가격 상승으로 12,000,000원에 매각한 경우 (2,000,000원 이익 발생)
차변: 현금 12,000,000원
대변: 단기매매증권 10,000,000원
대변: 단기매매증권처분이익 2,000,000원
단기매매증권 처분 시 시세차익은 "단기매매증권처분이익"으로 인식
② 매도가능증권의 회계처리 (중·장기 보유 목적)
매도가능증권은 단기 시세차익이 아닌, 특정한 목적 없이 장기 보유할 가능성이 있는 증권
예제 3 : 기업이 장기투자 목적으로 15,000,000원의 주식을 매입한 경우
차변: 매도가능증권 15,000,000원
대변: 현금 15,000,000원
매도가능증권 증가, 현금 감소
매도가능증권의 평가손익은 "기타포괄손익" 으로 회계처리됨
(즉, 단기손익에 반영되지 않고 자본변동에 포함됨)
③ 만기보유증권의 회계처리 (만기까지 보유하는 채권)
기업이 1년 이상 보유할 목적으로 국채나 회사채를 매입할 경우 "만기보유증권" 계정으로 회계처리
예제 4 : 기업이 20,000,000원짜리 국채(만기 3년)를 매입한 경우
차변: 만기보유증권 20,000,000원
대변: 현금 20,000,000원
만기보유증권 증가, 현금 감소
만기보유증권은 취득원가로 평가하며, 공정가치 변동을 반영하지 않음
4. 결산 시 유의사항
유가증권을 결산할 때는 다음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① 단기매매증권: 공정가치 평가 필요
단기매매증권은 결산일에 공정가치(시장가격)로 평가해야 함
평가손익(시세차익 또는 손실)은 손익계산서에 반영
예제 5 : 보유 중인 단기매매증권의 공정가치가 9,000,000원으로 하락한 경우
차변: 단기매매증권평가손실 1,000,000원
대변: 단기매매증권 1,000,000원
단기매매증권 평가손실을 즉시 손익으로 반영
② 매도가능증권: 기타포괄손익 반영
매도가능증권의 공정가치 변동은 기타포괄손익(OCI)에 반영
손익계산서가 아니라 자본변동표에 반영됨
예제 6 : 보유 중인 매도가능증권의 공정가치가 18,000,000원으로 상승한 경우
차변: 매도가능증권 3,000,000원
대변: 기타포괄손익 - 매도가능증권평가이익 3,000,000원
기타포괄손익으로 처리 (손익계산서에 반영되지 않음)
③ 만기보유증권: 취득원가 유지
만기보유증권은 공정가치 평가를 하지 않고 취득원가로 유지
이자수익을 정기적으로 인식해야 함
차변: 미수이자 500,000원
대변: 이자수익 500,000원
이자수익은 손익계산서에 반영됨
5. 결론
유가증권은 기업이 투자 목적으로 보유하는 금융자산으로, 단기·장기 목적에 따라 회계처리가 다름
단기매매증권은 공정가치 변동을 즉시 손익에 반영해야 함
매도가능증권은 기타포괄손익으로 반영하여 자본변동에 포함
만기보유증권은 취득원가를 유지하고, 이자수익을 정기적으로 인식
결산 시 공정가치 평가 및 회계처리를 철저히 해야 유가증권의 재무제표 반영이 정확해집니다!
'재무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타당좌자산의 개념, 종류 및 회계처리 방법 (0) | 2025.03.11 |
---|---|
매출채권의 개념, 범위 및 결산 시 유의사항 (1) | 2025.03.10 |
단기금융상품의 개념, 범위 및 회계처리 방법 (0) | 2025.03.08 |
현금 및 현금성자산의 개념, 범위, 회계처리 방법 (1) | 2025.03.07 |
당좌좌산의 의의와 종류 (0) | 2025.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