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무회계

이익잉여금

by BRUCE JOE 2025. 4. 25.

 

1. 이익잉여금의 정의

이익잉여금이란,
기업이 영업 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순이익 중에서 배당이나 기타 자본거래로 지급하지 않고 내부에 유보한 금액을 말합니다.
즉, 기업이 축적해온 순이익의 누적금액이며, 미래 투자나 배당, 손실 보전을 위한 재원으로 사용됩니다.

 

2. 이익잉여금의 발생 과정

이익잉여금은 다음의 순서를 거쳐 발생합니다.

  1. 기업이 영업활동 등으로 수익을 창출하여 당기순이익을 기록
  2. 그 중 일부는 배당금이나 법정적립금으로 사용
  3. 나머지 금액은 내부에 유보되어 이익잉여금으로 적립

 

3. 이익잉여금의 구성 항목

회계기준상 이익잉여금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4. 회계처리 예시

(1) 당기순이익 발생 시

회계연도 말에 50,000,000원의 순이익이 발생한 경우, 이익잉여금으로 적립 전에는 다음과 같이 반영됩니다:

차변: 손익계정 (예: 당기순이익)   50,000,000  
      대변: 미처분이익잉여금         50,000,000

(2) 이익잉여금 처분 (배당 및 적립금 설정)

이익잉여금 중 10,000,000원을 배당하고, 5,000,000원을 법정적립금으로 전입할 경우:

차변: 미처분이익잉여금   15,000,000  
      대변: 이익준비금           5,000,000  
            미지급배당금         10,000,000

 

5. 이익잉여금의 특징

  • 배당 가능 재원: 이익잉여금은 주주에게 배당할 수 있는 재원 중 하나입니다. (법정적립금 제외)
  • 내부유보 자금: 기업이 미래의 투자, 부채상환, 위기 대비를 위해 축적해 두는 자금입니다.
  • 결손 보전 가능: 기업에 손실이 발생하면 이익잉여금으로 보전할 수 있습니다.
  • 법적 제한: 일정 비율 이상의 이익은 법정준비금으로 적립해야 하며, 적립 기준은 상법에 따릅니다.

 

6. 재무제표에서의 표시

이익잉여금은 재무상태표의 자본 항목에 포함되며,
상세 내역은 보통 주석 또는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에 별도로 기재됩니다.

 

7. 이익잉여금 vs 자본잉여금

 

 

8. 결론

이익잉여금은 기업의 이익 중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내부에 남겨진 자본입니다.
이는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안정적인 재무구조 유지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배당 정책 결정이나 자본금 보전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재무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타포괄손익누계액  (0) 2025.04.24
자본조정  (0) 2025.04.23
자본잉여금  (1) 2025.04.22
자본금  (0) 2025.04.21
장기성매입채무  (0) 2025.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