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무회계

자본금

by BRUCE JOE 2025. 4. 21.

 

자본금의 정의

자본금이란 주식회사에서 회사를 설립하거나 유상증자를 통해 주식을 발행할 때, 주주가 회사에 출자한 금액 중 법적으로 등록된 금액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발행한 주식의 액면가 총액을 의미하며, 회사의 기본적인 자기자본으로 기능합니다.

예를 들어, 액면가가 1,000원인 주식을 10,000주 발행했다면, 자본금은 10,000,000원이 됩니다.

 

자본금의 특징

  1. 법적 자본
    자본금은 상법상 기업의 최소 자기자본이며, 회사 설립 및 증자 시 등기되어야 합니다.
  2. 감소가 제한됨
    자본금은 회사 재산의 기초가 되므로, 주주의 손해를 초래하거나 채권자 보호를 위하여 임의로 감소시킬 수 없습니다. 자본금 감소는 법적인 절차(감자)를 따라야 합니다.
  3. 액면가 기준 산정
    자본금은 액면발행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주식을 액면 이상으로 발행하면, 초과금액은 자본금이 아닌 자본잉여금으로 처리됩니다.

 

자본금의 회계처리

주식을 발행하여 자본금을 조달하는 경우, 회계처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액면발행 시

예시: 액면가 1,000원 주식 10,000주를 액면대로 발행하여 현금으로 납입받은 경우

차변: 현금          10,000,000
      대변: 자본금      10,000,000

2. 액면초과발행(할증발행) 시

예시: 액면가 1,000원 주식을 1,500원에 10,000주 발행한 경우

차변: 현금           15,000,000
      대변: 자본금        10,000,000
            주발행초과금     5,000,000

주발행초과금은 자본잉여금의 일종으로 분류됩니다.

 

관련 법령 및 요건

  • 상법 제290조에 따라, 주식회사는 자본금 규모를 등기해야 하며 자본금 감소 시에는 법원의 허가 또는 공고 절차가 필요합니다.
  • 자본금의 최소한도는 폐지되었지만, 자본잠식이 발생할 경우 기업의 재무건전성에 문제가 생기므로 충분한 자본금 확보가 필요합니다.

 

결론

자본금은 회사 설립 및 주식발행 시 주주가 출자한 금액 중 법적으로 등록된 부분으로, 기업의 재무구조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자기자본입니다. 회사의 신뢰도와 재무건전성을 판단하는 기준 중 하나이며, 회계처리와 법적 절차 모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재무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본조정  (0) 2025.04.23
자본잉여금  (1) 2025.04.22
장기성매입채무  (0) 2025.04.20
장기차입금  (0) 2025.04.19
사채발행  (0) 2025.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