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본잉여금의 정의
자본잉여금은 주주로부터 출자받은 금액 중에서, 자본금으로 계상되지 않은 부분을 말합니다.
즉, 주식을 액면가보다 **높은 금액(할증발행가)**으로 발행할 때 생기는 초과금액이나,
기타 자본거래에서 발생한 이익 등을 포함합니다.
자본잉여금은 기업의 영업활동에서 발생한 이익이 아니라,
소유주(주주)와의 자본거래에서 발생한 잉여금입니다.
2. 자본잉여금의 발생 원인과 구성 항목
자본잉여금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발생합니다.
이러한 금액은 자본금과 구분되어 자본잉여금 계정에 별도로 표시됩니다.
3. 회계처리 예시
(1) 주식을 액면초과(할증발행)했을 경우
예: 액면가 1,000원인 주식을 1,500원에 10,000주 발행
차변: 현금 15,000,000
대변: 자본금 10,000,000
주식발행초과금 5,000,000
※ 이 때 주식발행초과금은 자본잉여금의 일종입니다.
4. 자본잉여금의 특징
- 법인세의 과세대상 아님
영업활동으로 생긴 수익이 아니므로, 과세소득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 분배 제한
자본잉여금은 원칙적으로 이익잉여금처럼 자유롭게 배당할 수 없습니다.
다만, 자본금 전입(무상증자) 등의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자본거래로 인한 항목
영업과 관련된 손익이 아닌, 주식발행, 감자, 합병 등 자본의 이동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5. 자본잉여금과 이익잉여금의 차이
6. 자본잉여금의 활용
- 자본금 전입 (무상증자)
자본잉여금 중 일부를 자본금으로 전환하여, 주주에게 무상으로 주식을 배분할 수 있습니다. - 자본잠식 해소에 일부 사용 가능
법적 요건을 충족하면, 자본잉여금을 이용해 결손을 보전할 수도 있습니다.
결론
자본잉여금은 회사가 주식을 발행하거나 자본거래를 통해 확보한 자기자본 중 자본금으로 계상되지 않은 부분입니다. 이는 회사의 자본구조를 안정화시키는 중요한 재무 요소이며, 법적으로 사용이 제한되기 때문에 이익잉여금과 구분해서 관리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