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무회계

기타당좌자산의 개념, 종류 및 회계처리 방법

by BRUCE JOE 2025. 3. 11.

 

1.   기타당좌자산의 개념

기타당좌자산(Other Quick Assets) 이란, 현금성 자산이나 매출채권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단기적으로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을 의미합니다.

   1년 이내에 현금화할 수 있는 단기 자산
   유동자산(당좌자산)으로 분류
   즉시 현금화할 수 없지만, 운영자금으로 활용 가능

즉, 기타당좌자산은 기업이 운영하는 데 필요한 단기 금융자산으로, 매출채권 이외의 다양한 항목을 포함합니다.

 

2.   기타당좌자산의 종류

기타당좌자산은 크게 선급금, 미수금, 미수수익, 가지급금, 대손충당금 차감 후 매출채권 등으로 나뉩니다.

 

선급금 (Advance Payments) 계약금 또는 선불금으로 지급한 금액 상품 구입 시 선급한 금액
미수금 (Accrued Revenues) 외상거래가 아닌 거래에서 발생한 미회수 금액 토지 매각 후 아직 받지 못한 금액
미수수익 (Accrued Income) 이미 발생했지만 아직 받지 못한 수익 이자수익, 배당금
가지급금 (Temporary Payments) 일시적으로 지출했지만, 구체적인 계정이 정해지지 않은 금액 임직원 출장비, 경비 대여금
대손충당금 차감 후 매출채권 (Allowance for Doubtful Accounts) 회수 불확실한 매출채권을 차감하여 순액으로 표시 대손처리 후 남은 외상매출금

이러한 자산들은 기업이 운영하는 데 중요한 유동성 자산이며, 적절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3.   기타당좌자산의 회계처리 방법

①   선급금 (Advance Payments) 회계처리

   상품을 구매할 때 선급금(계약금)을 지급한 경우 "선급금" 계정으로 처리

예제 1  :   5,000,000원의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선급금 지급

차변: 선급금 5,000,000원  
대변: 현금 5,000,000원  

   현금 감소, 선급금 증가

상품이 인도되면, 선급금을 "상품" 계정으로 대체해야 함

차변: 상품 5,000,000원  
대변: 선급금 5,000,000원  

   선급금 감소, 상품 증가

 

②   미수금 (Accounts Receivable) 회계처리

   외상매출금이 아닌 기타 거래에서 발생한 미수 금액을 "미수금"으로 처리

예제 2  :   기업이 토지를 20,000,000원에 매각하고, 5,000,000원을 미수로 처리한 경우

차변: 현금 15,000,000원  
차변: 미수금 5,000,000원  
대변: 토지 20,000,000원  

   현금 증가, 미수금 증가, 토지 자산 감소

미수금 회수 시 "현금" 계정으로 변환

차변: 현금 5,000,000원  
대변: 미수금 5,000,000원  

   현금 증가, 미수금 감소

 

③   미수수익 (Accrued Income) 회계처리

   이미 발생한 수익이지만 아직 현금으로 받지 못한 경우 "미수수익"으로 처리

예제 3  :   12월 말까지 300,000원의 이자수익이 발생했지만, 1월에 지급 예정인 경우

차변: 미수수익 300,000원  
대변: 이자수익 300,000원  

   미수수익 증가, 이자수익 발생

이후 현금을 수령하면 미수수익을 감소시킴

차변: 현금 300,000원  
대변: 미수수익 300,000원  

   현금 증가, 미수수익 감소

 

④   가지급금 (Temporary Payments) 회계처리

   임직원에게 임시로 지급한 출장비, 법인카드 사용금액 등을 "가지급금"으로 처리

예제 4  :   임직원 출장비로 2,000,000원 지급

차변: 가지급금 2,000,000원  
대변: 현금 2,000,000원  

   가지급금 증가, 현금 감소

출장 후 증빙서류 제출 시, 접대비 또는 출장경비로 계정 대체

차변: 접대비 2,000,000원  
대변: 가지급금 2,000,000원  

   접대비 비용 인식, 가지급금 감소

 

⑤   대손충당금 차감 후 매출채권 (Allowance for Doubtful Accounts)

   회수 불가능한 매출채권에 대비하여 대손충당금을 설정함

예제 5  :   외상매출금 1,000,000원 중 100,000원을 대손충당금으로 설정

차변: 대손상각비 100,000원  
대변: 대손충당금 100,000원  

   대손상각비 비용 인식, 대손충당금 증가

실제 대손 발생 시 "대손충당금"을 차감하여 외상매출금 정리

차변: 대손충당금 100,000원  
대변: 외상매출금 100,000원  

   외상매출금 감소, 대손충당금 감소

 

4.   결산 시 유의사항

기타당좌자산을 결산할 때 다음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①   선급금의 실제 사용 여부 확인

   선급한 금액이 실제로 상품이나 서비스 제공으로 전환되었는지 확인 필요
   사용되지 않은 선급금은 회계 조정이 필요할 수 있음

 

②   미수금, 미수수익의 회수 가능성 평가

   회수가 불가능할 경우 대손충당금을 설정하여 손실을 대비해야 함
   장기 미수금은 "장기미수금"으로 분류하여 별도 관리 필요

 

③   가지급금의 적절한 회계 처리

   임직원에게 지급된 가지급금이 적절한 비용 계정으로 대체되었는지 확인
   불분명한 가지급금이 장기간 유지되지 않도록 관리

 

5.   결론

기타당좌자산은 현금성 자산은 아니지만, 단기적으로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으로 기업 운영에 필수적
선급금, 미수금, 미수수익, 가지급금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정확한 회계처리가 필요
결산 시 미회수 채권과 가지급금을 철저히 검토하여 재무제표의 신뢰성을 높여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