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재고자산 수량 결정이란?
재고자산 수량 결정이란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재고의 실제 수량을 파악하고 기록하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 정확한 재고 수량 파악은 기업의 재무제표와 경영 의사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함
- 수량 결정 방법에는 실지재고조사법과 계속기록법이 있음
2. 재고자산 수량 결정 방법의 종류
(1) 실지재고조사법(Periodic Inventory System, 실지 조사법)
- 일정한 기간(예: 분기별, 연말)에 실제 재고를 직접 조사하여 수량을 결정하는 방법
- 회계 기록 없이 일정 시점에 직접 실사하여 재고 수량을 파악
- 매출원가는 매 기말에 계산
예시 1: 의류매장에서 실지재고조사법 적용
- 의류매장 A는 매월 말 직원들이 직접 매장과 창고에 있는 재고를 확인하여 재고 수량을 기록
- 1월 1일 기준 보유 재고: 100벌
- 1월 동안 입고된 재고: 50벌
- 1월 동안 판매된 재고(판매 기록에 따라 확인 가능): 80벌
- 1월 말 실제 재고 실사 결과: 70벌
- 계산 방식:
- 기초재고(100벌) + 입고(50벌) - 기말재고(70벌) = 매출된 재고 80벌
- 1월 매출원가 계산:
- 한 벌당 원가가 5만 원이면 → 80벌 × 50,000원 = 400만 원
* 특징:
- 주기적으로 직접 실사하여 재고를 확인하기 때문에 정확한 재고 수량 파악 가능
- 하지만 매번 실사해야 하므로 번거롭고, 실시간 재고 파악이 어려움
(2) 계속기록법(Perpetual Inventory System, 연속 기록법)
- 모든 재고의 입출고를 회계 시스템에 실시간으로 기록하여 재고 수량을 파악하는 방법
- 매번 재고가 입고되거나 출고될 때마다 회계 시스템에 자동으로 반영됨
- 매출원가는 판매 즉시 계산됨
예시 2: 전자상거래 회사에서 계속기록법 적용
- 온라인 쇼핑몰 B사는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활용하여 재고 관리 시스템을 운영
- 2월 1일 보유 재고: 500개
- 2월 동안 입고된 재고: 300개
- 2월 동안 판매된 재고: 600개 (시스템에 자동 기록됨)
- 시스템에 의한 2월 말 재고 수량:
- 기초재고(500개) + 입고(300개) - 판매(600개) = 200개 남음
- 재고 시스템이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므로, 언제든지 현재 재고 수량을 확인할 수 있음
* 특징:
- 실시간으로 재고 관리 가능
- 전자 시스템을 이용하여 오류를 줄이고 정확한 재고 관리를 가능하게 함
- 하지만 시스템 구축 비용이 높고, 데이터 오류 발생 시 실제 재고와 차이가 생길 수 있음
3. 실지재고조사법 vs 계속기록법 비교
실지재고조사법 계속기록법
재고 파악 방식 | 일정 기간마다 직접 실사 | 실시간 시스템 기록 |
매출원가 계산 시점 | 회계 기간 종료 후 | 판매 시 즉시 계산 |
정확성 | 실사에 의존 (분실·파손 고려) | 실시간으로 정확한 관리 가능 |
운영 방식 | 주기적으로 재고조사 필요 | 자동 시스템 활용 |
적용 기업 | 중소기업, 소매점 | 대형 유통업체, 온라인 쇼핑몰 |
4. 결론
= 재고자산의 수량을 결정하는 방법은 실지재고조사법과 계속기록법이 있으며, 기업의 특성과 시스템 환경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야 함
= 대형 유통업체나 온라인 쇼핑몰은 계속기록법을 사용하고, 전통적인 소매업이나 제조업체는 실지재고조사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
'재무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고자산 원가흐름 가정 중 선입선출법(FIFO) (0) | 2025.03.19 |
---|---|
재고자산 원가흐름 가정 중 개별법 (0) | 2025.03.18 |
재고자산의 취득원가 결정 방법과 예시 (0) | 2025.03.16 |
재고자산의 개념 및 범위 (0) | 2025.03.16 |
기타당좌자산의 개념, 종류 및 회계처리 방법 (0) | 2025.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