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무회계

재고자산의 수량 결정 방법

by BRUCE JOE 2025. 3. 17.

 

1. 재고자산 수량 결정이란?

재고자산 수량 결정이란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재고의 실제 수량을 파악하고 기록하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  정확한 재고 수량 파악은 기업의 재무제표와 경영 의사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함
-  수량 결정 방법에는 실지재고조사법과 계속기록법이 있음


2. 재고자산 수량 결정 방법의 종류

(1) 실지재고조사법(Periodic Inventory System, 실지 조사법)

-   일정한 기간(예: 분기별, 연말)에 실제 재고를 직접 조사하여 수량을 결정하는 방법
-  회계 기록 없이 일정 시점에 직접 실사하여 재고 수량을 파악
-  매출원가는 매 기말에 계산

   예시 1: 의류매장에서 실지재고조사법 적용

  • 의류매장 A는 매월 말 직원들이 직접 매장과 창고에 있는 재고를 확인하여 재고 수량을 기록
  • 1월 1일 기준 보유 재고: 100벌
  • 1월 동안 입고된 재고: 50벌
  • 1월 동안 판매된 재고(판매 기록에 따라 확인 가능): 80벌
  • 1월 말 실제 재고 실사 결과: 70벌
  • 계산 방식:
    • 기초재고(100벌) + 입고(50벌) - 기말재고(70벌) = 매출된 재고 80벌
  • 1월 매출원가 계산:
    • 한 벌당 원가가 5만 원이면 → 80벌 × 50,000원 = 400만 원

*  특징:
-  주기적으로 직접 실사하여 재고를 확인하기 때문에 정확한 재고 수량 파악 가능
-  하지만 매번 실사해야 하므로 번거롭고, 실시간 재고 파악이 어려움


(2) 계속기록법(Perpetual Inventory System, 연속 기록법)

-  모든 재고의 입출고를 회계 시스템에 실시간으로 기록하여 재고 수량을 파악하는 방법
-  매번 재고가 입고되거나 출고될 때마다 회계 시스템에 자동으로 반영됨
-  매출원가는 판매 즉시 계산됨

   예시 2: 전자상거래 회사에서 계속기록법 적용

  • 온라인 쇼핑몰 B사는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활용하여 재고 관리 시스템을 운영
  • 2월 1일 보유 재고: 500개
  • 2월 동안 입고된 재고: 300개
  • 2월 동안 판매된 재고: 600개 (시스템에 자동 기록됨)
  • 시스템에 의한 2월 말 재고 수량:
    • 기초재고(500개) + 입고(300개) - 판매(600개) = 200개 남음
  • 재고 시스템이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므로, 언제든지 현재 재고 수량을 확인할 수 있음

 *  특징:
-  실시간으로 재고 관리 가능
-  전자 시스템을 이용하여 오류를 줄이고 정확한 재고 관리를 가능하게 함
-  하지만 시스템 구축 비용이 높고, 데이터 오류 발생 시 실제 재고와 차이가 생길 수 있음


3. 실지재고조사법 vs 계속기록법 비교

                                                    실지재고조사법                                              계속기록법

재고 파악 방식 일정 기간마다 직접 실사 실시간 시스템 기록
매출원가 계산 시점 회계 기간 종료 후 판매 시 즉시 계산
정확성 실사에 의존 (분실·파손 고려) 실시간으로 정확한 관리 가능
운영 방식 주기적으로 재고조사 필요 자동 시스템 활용
적용 기업 중소기업, 소매점 대형 유통업체, 온라인 쇼핑몰

4. 결론

=  재고자산의 수량을 결정하는 방법은 실지재고조사법과 계속기록법이 있으며, 기업의 특성과 시스템 환경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야 함
=  대형 유통업체나 온라인 쇼핑몰은 계속기록법을 사용하고, 전통적인 소매업이나 제조업체는 실지재고조사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