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채의 의의
■ 사채란?
사채는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일정한 이자와 만기일을 정한 채무증서(채권)입니다. 일반적으로 은행대출 이외의 직접금융 방식으로 외부 투자자(채권자)로부터 자금을 차입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 주요 특징
- 채권자와 발행자 간의 계약으로 구성되며, 발행자는 일정한 이자를 지급하고 만기일에 원금을 상환해야 함.
- 자금의 장기적 조달 수단으로 활용됨(보통 만기 1년 이상).
- 투자자는 고정적인 수익(이자)을 기대할 수 있음.
- 주식과는 달리 의결권이 없고, 원금과 이자가 보장되는 성격.
2. 사채 가격의 결정 요인
사채의 가격은 발행 시점 혹은 유통시장에서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현재가치(Present Value) 개념에 기초하여 결정됩니다.
■ 구성요소
사채의 가격은 다음 두 가지의 현재가치 합계로 계산됩니다.
- 이자(쿠폰)의 현재가치
- 원금(액면금액)의 현재가치
■ 관련 용어
- 액면가(face value): 만기 시 상환할 금액 (보통 100,000원 또는 1,000,000원 등).
- 표시이율(coupon rate): 액면가에 대한 연간 이자율.
- 시장이율(market rate, 유효이자율): 시장에서 요구되는 이자율. 사채가격 결정의 기준이 되는 이율.
- 만기(maturity): 원금을 상환하는 시점.
3. 사채 가격 결정 방식 (공식)
- C = 매기 이자지급액 (Coupon Payment = 액면가 × 표시이율)
- F = 만기시 지급되는 액면금액 (Face Value)
- r = 시장이율 / 이자지급회수
- n = 전체 지급 회수 (ex. 5년 동안 매년 1회 지급 시 n = 5)
4. 사채 가격 예시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사채가 있다고 가정합니다.
- 액면가: 1,000,000원
- 만기: 3년
- 연간 이자율(표시이율): 5%
- 시장이율: 6%
- 이자 지급: 연 1회 (단리)
① 이자 = 1,000,000 × 5% = 50,000원
② 현재가치 계산
③ 원금 현재가치 = 1,000,000 / (1 + 0.06)^3 = 약 839,619원
④ 총 사채 가격 ≈ 133,651 + 839,619 = 973,270원
⇒ 즉, 시장이율이 표시이율보다 높기 때문에, 사채는 액면가보다 할인된 가격에 판매됩니다.
5. 사채 가격의 변동 요인
- 시장금리 상승 시 → 사채 가격 하락
- 시장금리 하락 시 → 사채 가격 상승
- 만기까지 남은 기간이 짧아질수록 → 현재가치 변동폭 감소
- 신용위험 또는 기업의 신용등급에 따라 가격 차이 발생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