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란?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Board)는 전 세계적으로 통일된 회계기준(IFRS)을 제정하고 관리하는 기구입니다.
설립 목적 :
회계기준을 국제적으로 통일하여 기업의 재무제표를 비교 가능하게 만들고, 회계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됨
주요 역할 :
- 국제회계기준(IFRS) 제정 및 개정
- 각국의 회계기준 수렴 및 조정
- 회계기준 적용 관련 연구 및 개발
- 기업의 회계처리 투명성 제고
2. 국제회계기준위원회의 설립 및 발달 과정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는 1973년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C,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Committee)로 처음 설립되었으며, 이후 발전을 거듭하여 현재의 형태로 변화하였습니다.
(1) 1973년 – IASC(국제회계기준위원회) 설립
설립 배경:
- 세계 각국의 회계기준이 서로 다르다 보니 기업 간 재무제표 비교가 어려움
- 국제적인 무역과 투자 확대에 따라 통일된 회계기준의 필요성 증가
- 설립 주체: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캐나다, 일본, 호주 등 10개국의 회계기구가 협력하여 IASC(국제회계기준위원회)를 설립
- 주요 활동:
국제회계기준(IAS,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제정
1973년부터 2001년까지 총 41개의 IAS를 발표
(2) 2001년 – IASB(국제회계기준위원회)로 개편
- 2001년, 기존의 IASC를 대체하여 IASB가 출범
- IASB는 국제회계기준(IFRS) 제정 및 관리를 담당
- IASB 출범 후, 기존 IAS를 점검하여 일부 개정하고 새로운 IFRS 기준 도입
즉, IASB는 IASC의 후신으로, 기존 IAS를 기반으로 국제회계기준(IFRS)을 개발하는 기구로 발전함
(3) 2001년 이후 – IFRS의 글로벌 확산
- IASB가 발표한 국제회계기준(IFRS)이 세계 각국에서 채택되기 시작
현재 140개 이상의 국가에서 IFRS를 적용 중
- 2005년: 유럽연합(EU) IFRS 의무 도입
- 2011년: 한국(K-IFRS) 전면 도입
- 2020년: 중국, 일본, 인도 등 주요 국가들도 IFRS 도입 확대
현재 IFRS는 글로벌 표준으로 자리 잡았으며, IASB는 지속적으로 기준을 개정하고 발전시키고 있음
3.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의 역할과 영향
(1) 글로벌 회계기준의 표준화
- 전 세계 기업들이 동일한 회계기준(IFRS)을 적용하여 재무제표를 작성
- 투자자, 금융기관 등이 기업의 재무제표를 비교 분석하기 쉬워짐
(2) 글로벌 경제와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 다국적 기업과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역할
- 국제적인 투자 유치와 기업 간 M&A(인수·합병)에도 큰 영향
(3) 지속적인 개정 및 발전
- 신기술, 산업 변화, 금융 환경 변화에 따라 IFRS를 지속적으로 개정
- 예시:
2018년 IFRS 15(고객과의 계약에서 발생하는 수익 기준) 도입
2019년 IFRS 16(리스 회계기준 개정) 시행
4. 결론
=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는 1973년 IASC로 시작하여 2001년 IASB로 개편되었으며, IFRS를 전 세계적으로 확산시키는 핵심 기구로 발전함
= IFRS는 현재 글로벌 표준 회계기준으로 자리 잡았으며, IASB는 지속적으로 새로운 회계기준을 개발하고 개정하여 기업과 투자자들의 신뢰성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 중
'K-IF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회계기준(IFRS)의 필요성 및 예시 (1) | 2025.03.12 |
---|